메뉴열기
전문가의 투자전략
인플레이션 시대 대안은??
이주현
22.04.11
133

안녕하세요. 서울경제TV 홍익 이주현입니다.

따뜻한 봄날에 꽃구경을 다녀야하는 그런 시점이 왔네요.

어제 강릉이 31도로 114년만에 봄날 치고 가장 더운 날씨였는데 올해는 유난히 더운 여름이 될거 같단 생각입니다.

 

서울경제TV에서 제가 방송하신 것들을 꾸준히 보신 분들께서는 아시겠지만.

작년 6월~7월 시장 하락이 나온다고 이야기 드리며 금이나 자산주들에 대해서 몇 번 언급을 한 적이 있습니다.

지금 시장은 고물가 즉, 인플레이션이 강한 상황으로 금리인상이 이뤄지는 시점입니다.

 

인플레이션 시대에 왜 자산주들이 부각이 되는가??

이에 대한 이야기를 드리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이 왜 발생하는가를 생각해야 하는데.  

지금 인플레이션이 강하게 발생하는 것에는 여러 이슈들이 있겠지만 가장 근본적이고 교과서 적인 이야기는 쉽게 이야기를 드리면 결국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렸기 때문입니다.

 

유동성 장세 이후 금리인상 시점에서는 실적장세가 온다고 몇달 전부터 이야기를 드렸는데.  그 중에서도 꾸준하게 실적이 안정적으로 나오는 기업 그리고 자산가치가 높은 기업들 위주로 오르게 됩니다. 이미 시장에는 이와 같은 흐름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결국 현금 가치가 하락하면서 자연스럽게 자산 가격은 상승하는 그런 흐름들이 나오는 것이고.  시장에서 자산주들이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보시면 됩니다.

제가 이야기 방송에서 이야기 드렸던 KT등 통신주들이나 보험사들이 강세인 이유 국내증시 뿐만이 아니라 글로벌적으로 흐름입니다.

이와 같은 섹터에 돈이 몰리는 이유는 경기침체 우려감. 전쟁의 장기화. 빅스텝 금리인상 등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이 시장에 있다는 것으로

경기침체에도 확실한 이익이 나거나 이익의 증가가 매우 확정적으로 예상되는 종목들입니다.

 

올해는 아마 위에 이야기 드린 종목들과 자산주들의 랠리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자산주들 아주 큰 싸이클 입니다. 신고가 가는 종목들 중 이와 관련이 있다면 좋은 성과가 기대됩니다. 

중장기 관점으로 자산주들 보시고.  단기적으로는 시장에 거래대금이 강한 종목들 위주의 저점 매수를 노리신다면 올해도 좋은 성과가 예상됩니다.

항상 여러분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닫기